[용어] 용어 총정리 chapter1 잉곳
- 작성일2019-11-27 02:50:54
- 조회수1864
- 추천 0
- 신고 0
출처 | 작성자 | 관리자 | |
---|---|---|---|
워크허브 관리자입니다.^^ 소재 총정리를 계속 포스팅하다가 한번 쉬어가는 타임으로 용어 총정리를 시작해보려고 합니다!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어렵고 애매한 용어를 정리 해드릴려고 합니다. 이번 시간은 용어 총정리 첫번째 시간으로 "잉곳(Ingot)"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잉곳이란? 1-1)잉곳이란? 금속 또는 합금을 한번 녹인 다음 주형에 흘려넣어 굳힌 것으로 잉곳케이스라고 하는 비교적 간단한 모양의 주형을 쓰며 주괴라고도 한다. 1-2)잉곳의 제조와 종류 강의 응고 중 용강에 FeO(산화철)의 형태로 존재하는 산소는 탄소와 반응으로 CO(일산화탄소)를 만들어냅니다. 이 상태로 주형에 주입하여 응고시키게 되면 가스가 잉곳 중에 잔류하여 기공을 형성시킵니다. 이와 같이 용강에 존재하는 산소의 양은 Al이나 Ferrosilicon(규소철)과 같은 탈산제를 첨가하면 조절할 수 있는데, 이 때 탈산 정도에 따라 킬드강, 림드강 및 세미킬드강으로 분류됩니다. 2.잉곳의 분류 2-1)킬드강 용강 중에 존재하는 산소를 규소철이나 Al으로 탈산 시켜서 잉곳중에 기공이 생기지 않도록 진정시킨 강을 킬드강이라고 합니다. 킬드강의 잉곳은 재질이 거의 균일하므로 0.3%C 이상의 탄소강 및 특수강과 같은 고급강에 사용됩니다. 2-2)림드강 탈산 및 기타 가스처리가 불충분한 용강을 그대로 주형에 주입하여 응고시킨 잉곳으로서, 주입 후에도 계속해서 다량의 가스가 발생함으로서 비등작용을 일어나게 됩니다. 재질이 균일하지 못하므로 보통 0.15%C 이하의 저탄소 구조용강에 사용된다. 2-3)세미킬드강 탈산의 정도를 적당히 하여 킬드강보다는 수축공의 깊이를 작게 한것입니다. 주로 0.15~0.3%C 범위의 구조용강에 적용됩니다. 이상으로 잉곳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부족한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. 이만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 |
이전글 | 소재 총정리 chapter13 금속 -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|
---|---|
다음글 | 소재 총정리 chapter14 금속 - 크롬몰리브덴강 |
댓글0